2024/10/21 믿음이 삶으로 드러나야 (갈 2:11-21)
Author
admin
Date
2024-10-21 07:33
Views
278
갈라디아서 2:11-21에서 바울은 의롭다 여김을 받는 것은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믿음으로 된다고 선언합니다.
바울은 안디옥에서 베드로를 책망한 적이 있습니다(11절).
이는 베드로가 유대인과 이방인이 한 형제임을 인정했음에도 야고보가 보낸 유대인들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이방인들과 식사하다가 자리를 피했기 때문입니다(12절).
사도들을 초청해 교제하며 예수님에 대해 듣고자 했던 이방인들에게는 큰 상처가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울은 베드로의 이런 행동에 대해 “복음의 진리를 따라 바르게 행하지 아니” 한 것이라 말합니다(14절).
왜냐하면 율법의 행위에 의해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됨을 베드로는 이미 아는 까닭입니다(15-16절).
성도는 겉으로 보이는 종교적 행위에 의해서가 아니라 진실되게 예수님을 믿음으로 구원을 얻습니다.
바울 자신은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살고자 율법에 대한 집착과 그것을 지키려는 노력을 완전히 포기했다고 말합니다(19절).
바울이 유대인으로서 율법에 대한 집착을 포기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유대인이 가진 고정관념을 버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믿음으로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었고 또한 다시 살아났다고 고백합니다.
이제는 바울이 아니라 자신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며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산다고 고백합니다(20절).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은 자기의 삶을 완전히 뒤바꾼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오직 믿음’이라는 고백은 앞으로 예수님만 붙들고 살겠다는 결단입니다.
우리의 믿음은 세상의 시험 앞에 계속해서 도전을 받습니다.
도전에 승리할 수 있는 비결은 ‘예수님 안에서’ 갖는 믿음이 삶으로 드러날 때입니다.
바울은 안디옥에서 베드로를 책망한 적이 있습니다(11절).
이는 베드로가 유대인과 이방인이 한 형제임을 인정했음에도 야고보가 보낸 유대인들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이방인들과 식사하다가 자리를 피했기 때문입니다(12절).
사도들을 초청해 교제하며 예수님에 대해 듣고자 했던 이방인들에게는 큰 상처가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울은 베드로의 이런 행동에 대해 “복음의 진리를 따라 바르게 행하지 아니” 한 것이라 말합니다(14절).
왜냐하면 율법의 행위에 의해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됨을 베드로는 이미 아는 까닭입니다(15-16절).
성도는 겉으로 보이는 종교적 행위에 의해서가 아니라 진실되게 예수님을 믿음으로 구원을 얻습니다.
바울 자신은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살고자 율법에 대한 집착과 그것을 지키려는 노력을 완전히 포기했다고 말합니다(19절).
바울이 유대인으로서 율법에 대한 집착을 포기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유대인이 가진 고정관념을 버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믿음으로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었고 또한 다시 살아났다고 고백합니다.
이제는 바울이 아니라 자신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며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산다고 고백합니다(20절).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은 자기의 삶을 완전히 뒤바꾼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오직 믿음’이라는 고백은 앞으로 예수님만 붙들고 살겠다는 결단입니다.
우리의 믿음은 세상의 시험 앞에 계속해서 도전을 받습니다.
도전에 승리할 수 있는 비결은 ‘예수님 안에서’ 갖는 믿음이 삶으로 드러날 때입니다.